오늘은 변색된 양가죽 코트 염색 작업 입니다. 양가죽 자켓이나 코트를 보관한 후에 착용을 위해 꺼냈을 때 변색이 된 경우를 자주 보게 됩니다.
양가죽의 변색은 코팅되지 않은 양가죽이 시간이 지나면서 빛과 공기 중에 노출될 때 생기는 현상이지요.
실상, 변색은 착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진행되는데 보관시에는 소매쪽 등 일정 부분이 빛을 더 보게 되어 급속히 변색이 진행되어 드러나게 됩니다.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라 부분 보다는 소매쪽이 심하게 빛이 바랜 것이 나타나네요ㅜㅜ
가죽옷은 보관이 중요한데, 장기간 보관시에는 통기성이 좋은 부직포등의 커버를 꼭 씌워서 빛의 노출이 적은 안쪽에 보관하여야 합니다. 여름철이나 장마철에는 옷장을 가끔 환기시켜 주어야 하고요.

변색은 양가죽의 특성상 자연스러운 에이징으로 멋스러운 색감을 연출하게 해 주는데, 어느 한 부분만 변색이 진행되면 색상의 차이가 두드러지므로 착용이 불편하게 됩니다.

빛에 노출이 가장 적었던 카라의 뒷부분을 보니 블랙에 가까운 카키색이었네요.
카라에 덮힌 부분과 노출된 부분의 색상차이가 변색의 정도인데, 상당히 많이 진행되어서 원래의 색을 찾기 어려울 정도가 되었습니다 ㅜㅜ

양가죽 자켓이나 코트는 얇고 부드러워서 착용하기에 가볍고 편하도록 만드는데요. 변색으로 외부에 염색을 하게되면 아무래도 처음과 같은 부드러움이 감소가 될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렇게 종잇장 처럼 얇고 부드러운 양가죽 코트는 최대한 얇고 부드럽게 원래의 색상을 찾아 주어야 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가 되겠네요.

변색되어 다양한 색상을 보이는 가죽에 일정한 컬러가 나오도록 동일한 색상의 베이스를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흡수되는 염료를 사용하여 변색된 양가죽 코트를 같은색상이 되도록 염색해 줍니다.

염료를 침투시키게 되면 최대한 원래의 질감을 살리게 되므로 색상을 살리면서 가죽이 뻣뻣해 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반면, 다른 곳에 이염이 되지 않도록 최대한 조심해 주어야 하지요.
또한, 착용하였던 양가죽 코트이기에 가죽의 표면 상태가 일정하지 않은 점도 염두에 두고 작업하여야 합니다~

고르게 염료가 가죽에 입혀지면 잘 건조후에 가죽의 탄성을 찾아주고 가죽의 부분에 따라 일정하지 않을 수 있는 색상표면을 잘 정리해 줍니다.

접촉이 많았던 소매끝이나 밑단 부분 등은 염색을 하고 나면 거친 느낌이 나게 되는데, 이는 보풀같은 것이 염료를 만나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런 부분들도 부드럽게 정리해 주어야 하지요~

변색으로 색상 차이가 가장 심했던 카라 부분도 염새을 하고 나니 이렇게 색상이 살아나고 사라졌던 광택까지 되찾았습니다^^

이렇게 염색 작업이 끝나면 가죽의 광택과 색상유지를 위해 코팅을 해 주게 됩니다.

전체적인 앞모습과 뒷모습의 차이가 분명하게 드러나네요. 사진상으로도 느낄 수 있듯이 양가죽 코트의 부드러움도 염색 후에도 거의 비슷하게 유지되었습니다.

변색된 양가죽 코트 염색이 이렇게 고급스럽게 원래의 모습을 되찾게 되었습니다~
